728x90 SMALL 전기방식/전기방식 유지관리16 접지저항 측정 전기방식설계 및 유지관리에서 접지저항은 매우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각각의 접지저항 측정 방법에 대해 알아 보자1. 마그네슘양극의 접저 저항 측정 2. 외부전원식 양극(Deep well)의 접지 저항 측정 3. 강제배류기(Rail)의 접지 저항 측정 2024. 5. 27. Instant Off 전위 Instant Off전위 어려운가요? 전자는 양극에서 음극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전자는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코팅 결함으로 흐른다. 이온은 코팅 결함으로 방출되어 땅속(전해질)으로 흐름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설물이 분극(가자의 방향으로 전위차가 커진다)이 발생 합니다.. 분극을 시설물에 저장된 전하로 생각하고, 전류 흐름과 차단을 통해 이루어 집니다. 좋은 비유로는 구멍이 있는 탱크에 물을 붓는 것입니다. 물의 유출 속도가 유입 속도와 같을 때까지 수위가 증가할 것입니다. 이제 이 비유에서 유입 속도는 적용된 방식 전류(전자의 흐름)이며, 평형은 분극입니다. 이 수위(또는 분극)을 측정하는 것은 방식 시스템의 효과를 측정하는 좋은 수단입니다. 불행히도 테스트 박스TB)에서 전압을 측정하려고 할 때.. 2024. 1. 30. 배류기 구간 전위불량 사례2 1. 원인 - 건물 신축시 H빔 미제거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관의 침하로 빔과 접촉 2. 조사 - PCM, 대구경 전류계, DCVG로 접촉지점 확인 3. 조치 - 접촉 H빔 제거 후 전위 복원 2023. 7. 23. 배류기 구간 전위불량 사례1 1. 금속재 외벽과 배관이 접촉되어 전위 불량 발생 2. 대구경 전류계로 전류유입 확인 (20A유입) 3. 노출배관 절연 및 건물외벽과 고무패드 삽입 4.조치결과 - 전류차단으로 전위복원 - 건물외부가 철재인경우는 입상절연을 인입지점에 설치필요 2023. 7. 23. 희생양극구간 조치사례 1 1. 희생양극구간 전위불량 발생 (-450mV~ -600mV SEC) 2. 조사방법 가통전 시험으로 전류유입구간 축소 3. PCM전류측정으로 전류 유입구간 확인 4. 확인 굴착 5. 원인 - 전신주와 배관이격거리 미유지 (2Cm) - 전신주 접지봉이 배관접촉으로 한전 접지봉을 방식, 소요전류 과다로 배관은 전위불량 발생 6. 조치 - 한전 연락 접지봉 이설 2023. 7. 23. 음극방식 효율성 측정 2022. 10. 5. 이전 1 2 3 다음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