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AI

AI로 랜딩페이지 만들어 보기

by higold 2024. 10. 6.
728x90

초보자를 위한 상세 가이드

소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AI를 활용해 랜딩 페이지를 빠르게 만들고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코딩 경험이 전혀 없는 분들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랜딩 페이지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해, 웹사이트의 첫 페이지입니다. 주로 제품 홍보나 마케팅 캠페인을 위해 만들어지며, 방문자의 관심을 끌고 행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가상의 마케팅 회사인 '크리에이티브 웨이브'의 랜딩 페이지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AI를 이용한 웹사이트 제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AI를 이용한 웹사이트 개발

사용 도구

  • ChatGPT: AI 언어 모델로, 기본 HTML, CSS, JavaScript 코드를 생성합니다.
  • Tailwind CSS: CSS 프레임워크로, 미리 정의된 클래스를 사용해 쉽게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Replit: 온라인 코드 에디터로, 코드를 작성하고 실시간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계별 가이드

  1. ChatGPT 접속하기:
  2. ChatGPT에 프롬프트 입력하기:
    • "마케팅 회사 '크리에이티브 웨이브'의 랜딩 페이지를 위한 HTML, CSS (Tailwind 사용), JavaScript 코드를 작성해 주세요. 회사 소개, 서비스 목록, 연락처 양식을 포함해 주세요."라고 입력합니다.
  3. 생성된 코드 확인 및 복사:
    • ChatGPT가 생성한 코드를 검토합니다.
    • 전체 코드를 복사합니다.
  4. Replit에서 새 프로젝트 만들기:
    • https://replit.com 에 접속합니다.
    • 새 프로젝트를 만들고 "HTML, CSS, JS" 템플릿을 선택합니다.
  5. 코드 붙여 넣기 및 수정:
    • Replit의 index.html 파일에 ChatGPT가 생성한 코드를 붙여 넣습니다.
    • 필요한 경우 코드를 수정합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 URL을 실제 이미지로 교체하거나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6. 결과 확인:
    • Replit의 "Run" 버튼을 클릭하여 웹사이트를 미리 봅니다.
    • 디자인이나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ChatGPT에 수정을 요청하고, 위 과정을 반복합니다.

2. 문의 기능 자동화

사용 도구

  • Make (구 Integromat):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만드는 도구입니다.
  • Google Sheets: 온라인 스프레드시트 서비스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단계별 가이드

  1. Make 계정 만들기:
  2. 새 시나리오 생성:
    • 대시보드에서 "Create a new scenario"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웹훅 설정:
    • "Add a module" 클릭 후 "Webhooks" 선택합니다.
    • "Custom webhook" 선택합니다.
    • 웹훅에 이름을 부여합니다 (예: "크리에이티브 웨이브 문의").
    • "Save" 버튼을 클릭하면 고유한 웹훅 URL이 생성됩니다.
  4. Google Sheets 연결:
    • "Add another module" 클릭 후 "Google Sheets" 선택합니다.
    • "Add a new row" 액션을 선택합니다.
    • Google 계정에 연결하고 사용할 스프레드시트와 시트를 선택합니다.
  5. 데이터 매핑:
    • 웹훅에서 받은 데이터를 Google Sheets의 열과 매핑합니다.
    • 예: 이름, 이메일, 메시지 등
  6. 시나리오 활성화:
    • 우측 하단의 토글스위치를 켜서 시나리오를 활성화합니다.
  7. 랜딩 페이지에 웹훅 URL 추가:
    • Replit로 돌아가 HTML 코드의 form 태그에 action 속성으로 웹훅 URL을 추가합니다.

3. 웹사이트 배포

  웹사이트 배포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오늘은 Tiny Host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사용 도구

  • Tiny Host: 간단한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서비스
  • 도메인 등록 서비스 (예: Namecheap, GoDaddy 등)
  • Cloudflare: DNS 관리 및 보안 서비스

단계별 가이드

  1. Tiny Host에 사이트 업로드:
    • https://tinyhost.com에 접속하여 계정을 만듭니다.
    •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Replit에서 만든 파일들을 업로드합니다.
  2. 도메인 구매:
    • 원하는 도메인 등록 서비스에서 도메인을 구매합니다.
  3. Cloudflare 설정:
    • https://www.cloudflare.com에 접속하여 계정을 만듭니다.
    • "Add a site"를 클릭하고 구매한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 Cloudflare가 제공하는 네임서버 정보를 복사합니다.
  4. 도메인 등록 사이트에서 네임서버 변경:
    • 도메인을 구매한 사이트의 관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네임서버 설정을 찾아 Cloudflare에서 제공한 네임서버로 변경합니다.
  5. Cloudflare에서 DNS 설정:
    • Cloudflare 대시보드의 DNS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 "Add record" 클릭 후 A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 Tiny Host에서 제공한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6. Tiny Host에서 커스텀 도메인 설정:
    • Tiny Host 대시보드에서 프로젝트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 커스텀 도메인 섹션에 구매한 도메인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7. SSL 인증서 설정:
    • Cloudflare에서 SSL/TLS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 "Full" 모드를 선택하여 SSL을 활성화합니다.

결론

장황하게 하는것 보다 요약정리 좋아요!!
이렇게 하면 AI의 도움을 받아 전문적인 랜딩 페이지를 만들고, 문의 기능을 자동화하며, 실제 도메인으로 배포까지 완료할 수 있습니다. 코딩 경험이 없어도 이 과정을 따라 하면 나만의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한 번 해보면 생각보다 쉽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거예요. 계속 연습하고 실험해 보세요. 여러분의 비즈니스나 개인 프로젝트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파이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