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기90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 05-08 유도 정압 조정기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 05-08 유도 전압 조정기유도 전압 조정기(Induction Voltage Regulator, IVR)는 유도 전동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연속적으로 조정하는 전기기기입니다. 주로 전력 시스템의 전압 강하 문제를 해결하고,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유도 전압 조정기는 전압 조정이 필요한 산업 현장과 전력 배전 시스템에서 널리 활용됩니다.1. 유도 전압 조정기의 원리유도 전압 조정기는 기본적으로 유도 전동기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고정자와 회전자 간의 자속 변화에 따라 출력 전압이 조정되며, 회전자 위치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전압을 변화시킵니다.고정자: 입력 전압이 인가되어 자속을 생성하는 부분.회전자: 회전자의 위치를 조정하여 출력 전압을 조절합.. 2024. 11. 11.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 05-07 단상 유도 전동기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 05-07 단상 유도 전동기단상 유도 전동기는 주로 단상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소형 전동기로, 가정용 기기나 소형 장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단상 유도 전동기는 일반적인 3상 유도 전동기와 다르게, 단상 교류 전원에서는 고정자의 회전 자기장이 형성되지 않아 자기 기동이 불가능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보조 기동 방법이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원리, 구조, 주요 기동 방식을 설명하겠습니다.1.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본 원리단상 유도 전동기는 단상 교류 전원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회전 자기장이 아닌 맥동 자기장을 형성합니다. 이로 인해 전동기가 스스로 기동하지 못하며, 별도의 기동 장치가 필요합니다. 전동기가 기동 후에는 관성에 의해 정상적.. 2024. 11. 10.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 05-06 유도 전동기의 이상현상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 05-06 유도 전동기의 이상현상유도 전동기는 내구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적지만, 특정 조건에서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철손, 동손, 진동, 소음, 회전자 발열 등이 대표적인 이상 현상으로, 이를 방치할 경우 전동기 성능 저하나 고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도 전동기에서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이상 현상을 정리합니다.1. 철손과 동손 증가철손은 철심에서 발생하는 손실로, 히스테리시스 손실과 와전류 손실을 포함합니다. 반면, 동손은 권선의 저항에 의한 전류 손실로, 전류가 증가하거나 불균형이 발생할 때 커집니다.주요 원인: 전압 변동, 주파수 이상, 전동기 과부하대책: 정격 전압과 주파수를 유지하며, 주기적인 전류 및 부하 점검이 필요합니다.2. 진동과.. 2024. 11. 10.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 05-05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 05-05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는 전동기의 회전 속도를 부하 조건에 맞춰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속도 제어법에는 극수 변경, 전압 제어, 주파수 제어 등이 있으며, 각각의 방식은 전동기의 성능과 효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도 전동기의 주요 속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1. 극수 변경법 (Pole Changing Method)극수 변경법은 유도 전동기의 극수를 변경하여 동기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극수와 주파수에 의해 동기 속도가 결정되는 특성을 활용합니다. 주로 다극 구조로 된 전동기에서 사용됩니다.특징: 극수를 바꾸어 속도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주파수가 일정할 때 유효합니다.. 2024. 11. 10.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 05-04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기동 방식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 05-04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기동 방식권선형 유도 전동기는 농형 유도 전동기와 달리 회전자 권선에 저항을 추가하여 기동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동 토크를 높이고, 기동 전류를 조절할 수 있어 대형 전동기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다양한 기동 방식을 설명합니다.1. 저항 기동 방식저항 기동 방식은 회전자 권선에 외부 저항을 연결하여 기동 시 높은 기동 토크를 얻고, 이후 저항을 점차 줄여 전동기를 전전압 상태로 운전하는 방식입니다. 특징: 기동 시 회전자에 높은 저항을 연결해 기동 토크를 증가시키고, 점차 저항을 줄여 과부하를 방지하며 부드러운 운전이 가능합니다.장점: 높은 기동 토크 제공.단점: 저항기의 추.. 2024. 11. 9.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05-03 농형 유도 전동기 기동 방식 전기기사 전기기기 이론: 05-03 농형 유도 전동기의 기동 방식농형 유도 전동기는 간단한 구조와 유지보수가 적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농형 유도 전동기는 기동 시 높은 기동 전류가 발생하므로, 이를 줄이고 안정적으로 기동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동 방식을 활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농형 유도 전동기의 주요 기동 방식을 설명하겠습니다.1. 전전압 기동 (Direct-On-Line, DOL) 방식전전압 기동은 정격 전압을 바로 인가하여 전동기를 기동시키는 방식으로, 가장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구조가 단순해 소형 전동기에서 주로 사용되며, 큰 기동 전류로 인해 전력망에 부하를 줄 수 있습니다.특징: 기동 토크가 크고 회로 구성이 간단함.단점: 기동 전류가 매우 커서 .. 2024. 11.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