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전기기술기준

⚡ 전기설비기술기준 112조: 용어의 정의 상세 해설

by higold 2024. 12. 6.
728x90

👋 들어가며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들을 정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용어의 정의 (기술기준 순서대로)

1. 가공인입선

  • 의미: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서 건물 연결점까지 직접 연결되는 전선
  • 쉬운 설명: 전신주에서 건물로 직접 들어오는 전선

2. 가섭선(架涉線)

  • 의미: 지지물(전신주 등)에 설치되는 모든 종류의 선
  • 포함: 전력선, 통신선 등 모든 종류의 선

3. 계통연계

  • 의미: 둘 이상의 전력계통을 전력이 서로 오갈 수 있게 연결하는 것
  • 연결방법: 송전선, 변압기, 직류-교류변환설비 등을 통해 연결

4. 계통외도전부

  • 의미: 전기설비는 아니지만 지면에 전위를 전달할 수 있는 도전성 부분
  • 예시: 금속 파이프, 금속 구조물 등

5. 계통접지

  • 의미: 전력계통의 중성점을 대지와 연결하는 것
  • 목적: 이상현상 발생 시 안전 확보

6. 고장보호

  • 의미: 기기 고장 시 간접 접촉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보호
  • 목적: 감전 사고 예방

7. 관등회로

  • 의미: 방전등용 안정기/변압기부터 방전관까지의 전기 경로

8. 급수설비

  • 의미: 발전소 기기에 냉각수, 봉수 등을 공급하는 설비
  • 구성: 급수펌프, 스트레이너, 모래분리장치, 급수관 등

9. 기본보호

  • 의미: 정상 작동 중인 충전부 직접 접촉 위험 방지
  • 목적: 기본적인 감전 사고 예방

10. 내부 피뢰시스템

  • 의미: 등전위본딩이나 외부피뢰시스템의 전기적 절연으로 구성된 보호 시스템
  • 목적: 건물 내부 뇌전류 피해 방지

11. 노출도전부

  • 의미: 평소엔 전기가 흐르지 않지만, 고장 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부분
  • 예시: 전기기기의 금속 외함
  • 주의사항: 접촉 시 감전 위험 있음

12. 단독운전

  • 의미: 전력계통과 분리된 상태에서 분산형전원만으로 운전하는 상태
  • 쉬운 설명: 독립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운전 방식

13. 단순 병렬운전

  • 의미: 자가용/소용량 발전설비를 배전계통과 연결해 운전하되, 생산 전력을 자체 소비하는 방식
  • 특징: 생산 전력이 연계계통으로 송전되지 않음

14. 동기기의 무구속속도

  • 의미: 전력계통에서 분리되고 속도조절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도달하는 최대회전속도

15. 등전위본딩

  • 의미: 전위를 같게 하기 위해 도전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
  • 목적: 감전 위험 감소
  • 중요성: 전기 안전의 핵심 요소

16. 등전위본딩망

  • 의미: 건물의 모든 도전부와 내부설비를 접지극에 연결하는 망
  • 제외: 충전도체
  • 목적: 전기 안전 확보

17. 리플프리 직류

  • 의미: 교류→직류 변환 시 리플성분이 10% 이하인 직류
  • 기술적 특징: 안정적인 직류 전원 공급

18. 무구속속도

  • 의미: 수차가 무부하로 회전하는 속도
  • 특징: 최대 무구속속도는 가능한 최대 회전속도를 의미

19. 배관

  • 의미: 발전용기기에서 증기, 물, 가스, 공기를 이동시키는 장치
  • 중요성: 발전소 운영의 핵심 설비

20. 배수설비

  • 의미: 발전소 내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설비
  • 구성: 배수펌프, 흐르는 물 분리기, 수위검출기, 배수관 등

21. 보일러

  • 의미: 발전소의 보일러, 독립과열기, 증기저장기, 작동용공기가열기
  • 적용: 기술기준 제73조 및 제162조 관련

22. 보호도체(PE)

  • 의미: 감전 방지 등 안전을 위한 도체
  • 목적: 전기 안전 확보
  • 중요성: 필수 안전 장치

23. 보호등전위본딩

  • 의미: 감전 방지를 위한 등전위본딩
  • 목적: 안전한 전기 사용 환경 조성

24. 보호본딩도체

  • 의미: 보호등전위본딩을 제공하는 보호도체
  • 역할: 전기 안전 시스템의 일부

25. 보호접지

  • 의미: 감전 보호를 위해 기기를 접지하는 것
  • 목적: 고장 시 감전 사고 예방
  • 중요성: 필수 안전 조치

26. 분산형전원

  • 의미: 전력소비지역 근처에 설치 가능한 소규모 전원
  • 포함: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전기저장장치
  • 제외: 비상용 예비전원

27. 서지보호장치(SPD)

  • 의미: 과도 과전압 제한 및 서지전류 분류 장치
  • 목적: 전기설비 보호

28. 수로 관련 용어

a) 취수설비

  • 의미: 발전용 물을 끌어들이는 설비
  • 구성: 보(weir) 등의 구조물

b) 침사지

  • 의미: 토사 유입 방지를 위한 연못
  • 위치: 도수로 초입 부근
    c) 도수로
  • 의미: 발전용 물을 끌어오기 위한 구조물
  • 위치: 취수구와 상수조(또는 상부 Surge Tank) 사이
  • 종류: 무압도수로, 압력도수로

d) 헤드탱크

  • 의미: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조물
  • 위치: 도수로 끝부분
  • 목적: 유입수량/수차유량 변동 대응

e) 서지탱크

  • 의미: 수압 변화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
  • 종류: 상부 서지탱크(수압관로측), 하부 서지탱크(방수로측)
  • 기능: 과도한 수압 변화 방지

f) 수압관로

  • 의미: 상수조나 취수구에서 수차까지의 압력 도수관
  • 구성: 도수관과 지지 구조물

g) 방수로

  • 의미: 수차를 통과한 물을 내보내는 구조물
  • 종류: 무압 방수로, 압력 방수로
  • 특징: 흡출관 출구부터 시작

29. 수뢰부시스템

  • 의미: 낙뢰를 포착하기 위한 외부피뢰시스템
  • 구성: 돌침, 수평도체, 그물망도체 등
  • 목적: 낙뢰 피해 방지

30. 수차

  • 의미: 물의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회전기계
  • 구성:
    • 본체: 케이싱, 덮개, 가이드베인, 노즐, 디플렉터, 러너, 주축, 베어링
    • 부속장치: 입구밸브, 속도조절기, 제압기, 압유장치, 윤활유장치 등

31. 수차의 유효낙차

  • 의미: 수차 운전에 이용되는 전체 수두
  • 구분: 최고유효낙차, 최소유효낙차
  • 측정: 고압측과 저압측 지정점 간의 전 수두

32. 스트레스전압

  • 의미: 지락고장 시 발생하는 접지부분과 기기 외함 간의 전압
  • 중요성: 안전관리 기준으로 활용

33. 압력용기

  • 의미: 내압과 외압을 받는 발전용 용기
  • 안전: 압력 관리 중요

34.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 의미: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소설비
  • 주의: 특별한 안전관리 필요

35. 양수발전소

  • 의미: 물을 위로 퍼올려 저장했다가 발전하는 수력발전소
  • 특징: 상부조정지에 물을 양수하는 능력 보유

36. 배선 관련 용어

a) 옥내배선

  • 의미: 건물 내부의 고정 전선
  • 특징: 건축물 내부 전기사용을 위한 배선

b) 옥외배선

  • 의미: 건물 외부의 고정 전선
  • 용도: 외부 전기사용을 위한 배선

c) 옥측배선

  • 의미: 건물 외벽의 고정 전선
  • 특징: 조영물에 고정 설치

37. 외부피뢰시스템

  • 구성: 수뢰부시스템, 인하도선시스템, 접지극시스템
  • 목적: 낙뢰로부터 건물 보호

38. 운전제어장치

  • 의미: 수차와 발전기의 운전제어용 장치
  • 구성: 전기적/기계적 제어기기, 밸브류, 표시장치

39. 유량

  • 의미: 단위시간당 수차 통과 물의 체적
  • 중요성: 발전량 결정 요소

40. 유압장치

  • 의미: 압유 공급 장치
  • 구성: 유압펌프, 유압탱크, 집유탱크, 냉각장치, 유관
  • 용도: 속도조절기, 입구밸브, 제압기, 운전제어장치 작동

41. 윤활설비

  • 의미: 수차와 발전기의 베어링 및 습동부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설비
  • 구성: 윤활유 펌프, 윤활유 탱크, 유냉각장치, 그리스 윤활장치, 유관
  • 중요성: 기계 수명과 성능 유지에 필수

42. 간격

  • 의미: 떨어져야 할 물체 표면 간의 최단거리
  • 중요성: 안전과 성능 유지를 위한 기준
  • 적용: 전기설비 설치 시 필수 고려사항

43. 인하도선시스템

  • 의미: 뇌전류를 수뢰부에서 접지극으로 전달하는 시스템
  • 용도: 외부피뢰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
  • 중요성: 낙뢰 보호의 핵심 요소

44. 임펄스내전압

  • 의미: 절연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임펄스전압의 최대값
  • 특징: 규정된 파형과 극성 조건하에서 측정
  • 용도: 전기설비의 절연 성능 평가

45. 입구밸브

  • 의미: 수차의 물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 구성: 주밸브, 바이패스밸브, 서보모터, 제어장치
  • 위치: 수차 고압측 지정점 부근

46. 전기철도 관련 용어

a) 전기철도용 급전선

  • 의미: 전기철도용 변전소에서 다른 변전소나 전차선까지의 전선
  • 용도: 전기철도 전력 공급

b) 전기철도용 급전선로

  • 의미: 급전선과 이를 지지하는 시설물
  • 구성: 전선과 지지 구조물

47. 접근상태

a) 제1차 접근상태

  • 의미: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과 특정 거리로 접근하는 상태
  • 조건: 지지물 높이에 상당하는 수평거리 내 설치(3m 미만 제외)

b) 제2차 접근상태

  • 의미: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과 3m 미만으로 접근하는 상태
  • 중요성: 특별한 안전조치 필요

48. 접속설비

  • 의미: 공용 전력계통에서 분산형전원 설비까지의 연결 설비
  • 구성: 전선로, 개폐장치, 모선, 관련 설비

49. 접지 관련 용어

a) 접지도체

  • 의미: 설비와 접지극을 연결하는 도체
  • 용도: 안전한 접지 연결 제공

b) 접지시스템

  • 의미: 기기나 계통의 접지를 위한 전체 설비
  • 구성: 접속 장치와 필요 설비

c) 대지전위상승(EPR)

  • 의미: 접지계통과 기준대지 간의 전위차
  • 중요성: 안전관리 기준으로 활용

50. 접촉범위

  • 의미: 사람이 보조장치 없이 손을 뻗어 닿을 수 있는 범위
  • 중요성: 안전거리 설정의 기준
  • 적용: 전기설비 설치 위치 결정 시 고려

51. 정격전압

  • 의미: 발전기가 정격운전상태일 때의 단자 전압
  • 특징: 발전기 성능의 기준이 되는 전압
  • 중요성: 설비 선정과 운영의 기준

52. 제압기

  • 의미: 케이싱과 수압관로의 수압상승을 줄이기 위한 자동배수장치
  • 작동: 가이드베인 급속 폐쇄 시 연동하여 작동
  • 위치: 케이싱 또는 수압관로 부근

53. 속도조절기

  • 의미: 수차의 회전속도와 출력을 자동 조절하는 장치
  • 구성:
    • 속도검출부
    • 배압밸브
    • 서보모터
    • 복원부
    • 속도제어부
    • 부하제어부
    • 수동조작 기구

54. 중성선 다중접지 방식

  • 의미: 전력계통의 중성선을 여러 곳에서 접지하는 방식
  • 특징: 변압기 중성점을 중성선에 연결
  • 목적: 안정적인 접지 확보

55. 지락전류

  • 의미: 충전부에서 대지나 접지된 부분으로 흐르는 전류
  • 위험성: 화재, 감전, 설비 손상 우려
  • 중요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 관리 대상

56. 지중 관로

  • 의미: 지하에 설치되는 각종 관로 시설
  • 포함:
    • 지중 전선로
    • 지중 약전류 전선로
    • 지중 광섬유 케이블 선로
    • 지중 수관
    • 가스관
    • 부속 지중함

57. 지진력

  • 의미: 지진 발생 시 구조물에 작용하는 힘
  • 중요성: 설비 설계 시 필수 고려사항
  • 적용: 내진 설계 기준

58. 충전부

  • 의미: 정상 운전 시 전압이 걸리는 도체나 도전부
  • 포함: 중성선
  • 제외: PEN, PEM, PEL 도체
  • 주의: 감전 위험이 있어 특별 관리 필요

59. 특별저압(ELV)

  • 의미: 인체에 위험을 주지 않을 정도의 저압
  • 종류:
    • SELV: 비접지회로용
    • PELV: 접지회로용
  • 용도: 안전한 전기 사용 환경 조성

60. 펌프수차

  • 의미: 수차와 펌프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가역 회전기계
  • 구성:
    a) 본체:
    • 케이싱
    • 덮개
    • 가이드베인
    • 러너
    • 흡출관
    • 주축
    • 주축 베어링
      b) 부속장치:
    • 입구밸브
    • 속도조절기
    • 유압장치
    • 윤활유장치
    • 급수장치
    • 배수장치
    • 흡출관 수면압하장치
    • 운전제어장치

61. 피뢰 관련 용어

a) 피뢰등전위본딩

  • 의미: 뇌전류에 의한 전위차 감소를 위한 금속부 연결
  • 방법: 직접 도전접속 또는 서지보호장치 사용

b) 피뢰레벨(LPL)

  • 의미: 뇌방전 관련 설계 기준값
  • 특징: 최대/최소 설계값의 확률적 기준

c) 피뢰시스템(LPS)

  • 의미: 뇌격 피해 방지용 전체 시스템
  • 구성: 외부피뢰시스템과 내부피뢰시스템

62. 피뢰시스템의 자연적 구성부재

  • 의미: 원래 피뢰용이 아니지만 피뢰시스템으로 활용 가능한 도전성 구성부재
  • 예시: 건물의 금속 구조물
  • 장점: 추가 설비 없이 피뢰 기능 활용 가능

63. 하중

  • 의미: 구조물이나 부재에 응력과 변형을 일으키는 모든 작용
  • 고려사항: 구조물 설계 시 필수 검토 요소
  • 중요성: 설비의 안전성 확보

64. 활동

  • 의미: 흙에서 전단파괴로 인한 면 따른 엇갈림 현상
  • 영향: 설비 기초의 안정성에 위협
  • 주의: 지반 안정성 평가 필수

65. PEN 도체

  • 의미: 교류회로에서 중성선과 보호도체를 겸하는 도체
  • 용도: 접지와 중성점 기능 동시 수행
  • 특징: 이중 기능 수행으로 설비 간소화

66. PEM 도체

  • 의미: 직류회로에서 중간도체와 보호도체를 겸하는 도체
  • 적용: 직류 시스템에서의 보호와 중간점 연결
  • 특징: 직류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

67. PEL 도체

  • 의미: 직류회로에서 선도체와 보호도체를 겸하는 도체
  • 용도: 직류 시스템의 보호와 전력 전달
  • 특징: 직류 배선의 효율성 향상

⚠️ 전체 용어 정리 시 주의사항

1. 안전 관련 중요성

  • 모든 용어는 전기 안전과 직접적 연관
  • 정확한 이해와 적용이 사고 예방의 기본
  • 전문가 자문 필수

2. 실무 적용 시 고려사항

  • 법적 기준 준수 필수
  •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 중요
  • 안전 규정 철저 준수

3. 기술 발전에 따른 변화

  • 새로운 기술 도입 시 용어 정의 확인
  • 관련 규정 개정 사항 주시
  • 지속적인 학습과 업데이트 필요

💡 핵심 포인트 정리

  1. 모든 용어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공식 정의
  2. 안전이 모든 정의의 기본 전제
  3. 실무 적용 시 전문가 확인 필요
  4. 정기적인 교육과 업데이트 중요
  5. 관련 법규 준수 필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