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전기기술기준

⚡ 전기설비 기술기준 111조 적용범위 해설

by higold 2024. 12. 6.
728x90
SMALL

그동안 전기설비 기술기준에 대해 좀 쉽게 한번 작성해봐야 겠다고 생각 했는데 큰맘먹고 한번 시작해 봅니다.

최신 개정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전압 구분 설명부너 시작해 보겠습니다.

👋 들어가며

전기설비기술기준이 개정되면서 전압의 구분도 새롭게 변경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신 개정된 전압 구분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개정된 전압 구분의 기본 개념
  2. 새로운 전압 구분의 세부 내용
  3. 실제 적용 사례
  4. 변경된 내용의 중요성

⚡ 1. 개정된 전압 구분의 기본 개념

1.1 전압 구분의 새로운 기준

최신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르면 전압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저압(Low Voltage)

  • ✅ 직류: 1,500V 이하
  • ✅ 교류: 1,000V 이하

고압(High Voltage)

  • ✅ 직류: 1,500V 초과 ~ 7,000V 이하
  • ✅ 교류: 1,000V 초과 ~ 7,000V 이하

특고압(Extra-High Voltage)

  • ✅ 직류: 7,000V 초과
  • ✅ 교류: 7,000V 초과

💡 2. 새로운 전압 구분의 세부 내용

2.1 저압의 확대

  • 이전 기준: DC 750V / AC 600V 이하
  • 새로운 기준: DC 1,500V / AC 1,000V 이하
  • 변경 이유: 현대 전기설비의 발전과 요구사항 반영

2.2 고압의 범위 조정

  • 시작 전압이 상향 조정됨
  • 직류: 1,500V 초과부터
  • 교류: 1,000V 초과부터
  • 상한선은 동일하게 7,000V 유지

🔌 3. 실제 적용 사례

3.1 저압 설비 적용 범위 확대

  • 🚊 전기철도 시설물 (DC 1,500V)
  • 🏭 산업용 설비
  • 🔋 대용량 축전지 시스템

3.2 고압 설비

  • 🏢 대형 건물의 수변전 설비
  • 🏗️ 산업용 대형 기계 설비
  • 🏭 공장 동력설비

3.3 특고압 설비

  • ⚡ 송전선로
  • 🏭 대규모 산업단지 변전소
  • 🔌 발전소 설비

✨ 4. 변경된 내용의 중요성

4.1 안전관리 측면

  • 👷 작업자 안전기준 변경
  • 🛠️ 설비 보호장치 기준 조정
  • 📝 안전관리 절차 업데이트

4.2 설비 설계 영향

  • 📐 설계 기준의 변경
  • 🔧 보호장치 선정 기준 조정
  • 🏗️ 시설물 구조 설계 영향

💡 꼭 기억해야 할 포인트

  1. 저압 범위가 확대됨 (DC 1,500V / AC 1,000V 이하)
  2. 고압 시작점이 상향 조정됨
  3. 특고압은 7,000V 초과로 동일
  4. 새로운 기준에 따른 안전관리 중요
  5. 설비 설계 시 변경된 기준 적용 필수

⚠️ 주의사항

  • 개정된 기준에 맞춰 기존 설비 점검 필요
  • 새로운 안전기준 확인 필수
  • 작업 시 변경된 기준 준수
728x90
LIST